꽃 이야기(120)
-
좀작살나무, 보라빛 연서...시나브로 가을
시나브로 가을?! 좀작살나무가 보라빛 연서와 함께 가을을 데리고 왔다 좀작살나무는 마편초과 낙엽활엽관목이다 내한성이 강하고 양지나 음지에서도 잘 견디며 바닷가나 도심지에서도 개화와 결실이 잘된다. 환경적응성이 좋아서 조경용으로도 많이 보급돼 있다. 키가 1.5m까지 자라며, 잎은 가지에 마주나기를 한다. 가지를 꺾어서 보면 잎 모양이 마치 작살 같다고 해서 이름에 작살이라는 명칭이 들어갔다고...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잎겨드랑이에 꽃이 피고, 보라빛 열매가 맺는다 보라빛 열매가 마치 보석같다 늦둥이 꽃은 가지끝에서 피고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0 ~ 20개의 꽃이 핀다. 꽃대 길이는 1 ~ 1.5cm로 별모양 털이 있고, 양성꽃이며 길이 2mm로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수술은 4개로 길..
2023.08.25 -
배풍등, '참을 수 없어' 꽃말을 가진 꽃
'참을 수 없어' 침을 달고 있는 꽃을 보세요. 참을 수 있겠어요? 누군가를 콕 찌르고 싶겠지요. 배풍등 꽃말은 '참을 수 없어' 와 '기대' 입니다요. 배풍등은 가지과로 다년생 활엽 반초본이디. 가지과지만 덩굴처럼 3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의 기부만 월동하며 끝이 덩굴같으며 줄기에 선상의 털이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배풍등 영문명은 Lyre-leaf nightshade 열매는 10월에 빨갛게 익는다. 11~12월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4월경에 발아한다. 열매는 새들이 좋아하는 먹이로, 한 번 심으면 새들에 의해 주변에 널리 전파시킨다고. #까마중 저는 가지과 집안 까마중이고요. 꽃이 비슷하지만 침을 달고 있지 않고, 덩굴도 아닙니다. 배풍등과 달리 까만 열매를 맺어..
2023.08.24 -
금꿩의다리, 매년 한 번은 꼭 만나야 하는...꽃잎이 없는 꽃
금꿩의다리는 노란 황금빛 꽃이 매력넘치는 꽃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중부 이북의 산지 약간 깊은 산속의 습기가 충분하고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 주로 자란다. 미나리아재미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조경용으로도 보급돼 집 주변 화단에서도 만날 수 있지만, 고유한 색감을 느끼기에는 부족하다. 키는 70-100cm 정도 되는데, 2m가 넘는 개체도 종종 볼 수 있다. 영문명은 Yellow-filamentous meadow-rue 꽃잎이 없다. 꽃잎처럼 보이는 연한 자주색은 꽃받침이라고 한다. 황금빛을 자랑하는 노란 부분이 수술이다. 야생화를 사랑하는사람이라면 일년에 한 번은 꼭 만나야할 만큼 아름답고 아름답다 금꿩의다리 꽃말은 '키다리인형' 2m가 넘는 큰 키가 꽃말로 녹아났다.
2023.08.22 -
물봉선 노랑물봉선 흰물봉선,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물봉선 노랑물봉선 흰물봉선은 봉선화과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봉선화가 화단이나 울밑에서 핀다면 물봉선 노랑물봉선 흰물봉선은 야산에서 만날 수 있다. 물봉선 흰물봉선 노랑물봉선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영문명이 꽃말에 그대로 담겨있다. #물봉선 물봉선은 꽃잎이 홍자색이다 물봉선 목구멍을 들여다보니 아름다운 무늬가 자리하고 있다 물봉선은 뒤 꼬리가 또르르 말린다 물봉선 영문명은 Field touch-me-not #노랑물봉선 노랑물봉선은 꽃잎이 노랗다. 산골짜기 습지에 자라는데, 높은 고산지대에서도 만날 수 있다. 꽃은 8~9월에 핀다. 물봉선과 달리, 노랑물봉선은 뒤 꼬리가 말리지 않고 길게 늘어뜨리는 게 특징이다 노랑물봉선 명문명은 Western touch-me-not #흰물봉선 흰..
2023.08.21 -
계요등 鷄尿藤, 지구상에서 닭오줌 냄새로 통하는 꽃이지만...냄새는 별로 안 나요
담장에 작지만 자세히 보면 붉은 보랏빛을 자랑하는 꽃이 줄줄이 걸려있다. 계요등(鷄尿藤)이다. 계요등은 7~9월에 피는 아주 작은 나팔 모양을 한 통꽃이다. 통 겉은 흰색이고, 안쪽은 붉은 보라색이다 꼭두서니과로 산기슭 양지나 물가에 자생하는 낙엽활엽 덩굴성 식물이다. "계요등(鷄尿藤)은 식물체에서 닭의 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이름인 계시등(鷄屎藤)도 닭똥 냄새가 나는 덩굴이라는 뜻이고, 일본 이름인 헥소가주라[屁糞葛]도 마찬가지이다. 속명(Paederia)도 악취를 의미하는 라틴어(paidor)에서 유래하고 있어 이 식물을 대표하는 것은 세계 어디에서나 냄새로 통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줄기에서 닭오줌 냄새가 난다고 하는데, 사진을 담으면서 고약한 냄새를 느낀 적은 없..
2023.08.19 -
나팔꽃 종류, 나팔꽃 둥근잎나팔꽃 애기나팔꽃
나팔꽃 시즌이 됐다. 담장을 타고 올라가 꽃을 보여주고 있다. 나팔꽃도 종류가 많다. 나팔꽃, 둥근잎나팔꽃, 애기나팔꽃이 있다. 나팔꽃과 둥근잎나팔꽃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잎 모양이 다르다. 꽃 크기도 물론 다르다. 꽃은 둥근잎 나팔꽃이 가장 크고, 이름처럼 애기나팔꽃이 가장 작다. 나팔꽃과 애기나팔꽃은 메꽃과로 덩굴성 한해살이풀이고, 둥근잎나팔꽃은 메꽃과 1년생 초본이다. #나팔꽃 나팔꽃은 사진에서 보듯이 잎이 세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은 남자색, 백색, 적색 등 여러 색이 있고 7~8월에 핀다. 수술 5개, 암술 1개이다. 나팔꽃 영문명은 Lobedleaf pharbitis 나팔꽃 꽃말은 '결속' '허무한 사랑' #둥근잎나팔꽃 둥근잎나팔꽃은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잎이 둥그런 모양이다. 둥근잎나팔꽃..
2023.08.17